반응형
아파트 공시가격은 어떤 것 이길래, 종합부동산세와 관련이 있는걸까요?
아파트 공시가격이 무엇인지,
종부세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공시가격이 오르면 세금 부담도 커질까요?
아파트 공시가격이란?
아파트 공시가격은 정부가 매년 산정·공개하는 부동산의 가격입니다.
주택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부과의 기준이 됩니다.
재산세 + 종부세 부과 기준이 됩니다.
국토교통부가 조사해 공시합니다.
전국 단독주택은 매년 1월 1일
공동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은 4월 말 발표됩니다.
공시가격이 오르면 어떻게 될까?
공시가격이 중요한 이유는 아래 3가지와 같습니다.
- 보유세(재산세·종부세) 부과 기준 – 공시가격이 오르면 세 부담 증가
-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 지역가입자의 경우, 주택 공시가격이 오르면 건강보험료도 인상될 가능성
- 각종 복지 및 대출 기준 – 기초연금, 주택담보대출 한도 등에도 영향
즉, 공시가격이 오르면 보유세 증가하고, 건강보험료도 인상 될 수 있습니다.
각종 복지 와 대출에도 영향을 주겠죠
나라에서는 다주택을 막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밖에 할 수 없겠죠.
공시가격과 종합부동산세(종부세)의 관계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종부세 부과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주택자: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 다주택자: 1가구 합산 공시가격 6억 원 초과
서울아파트 한채를 보유하고 있다면 바로 종부세 나가죠~
종부세 계산 방법
- 과세표준 산정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기본공제
- 세율 적용 – 1주택자: 0.5%~2.7%, 다주택자: 1.2%~6.0%
공시가격 상승 시, 세금 얼마나 오를까?
예를 들어, 공시가격이 10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승하면 1주택자의 경우 종부세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세 부담 증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작년에는ㅊ해에는 종부세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아파트는 종부세가 얼마일까?
공시가격 확인 방법
공시가격을 확인하면 종부세를 알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에서 조회 가능 합니다.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바로가기
반응형